반응형

포르투갈에서 나농 논문인데 헤모플라즈마 감염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논문이다. 포르투갈에서 무슨일이 있었는지가 중요한게 아니라 그래서 한국에서는 헤모플라즈마가 있는지가 중요할것이다. 

 

2022년 한국 기생충학회지에 보고된 증례가 있다. 경상대 유도현 교수팀이 보고한 증례다. 

 

hemoplasma 증의 주요 증상은 

Hemoplasma 종은 병원성의 차이를 보이며, 특히 Mhf는 고병원성으로 심각한 빈혈과 황달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CMhm과 CMt는 낮은 병원성을 가지므로 일반적으로 임상적인 증상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면역 억제 또는 기존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빈혈이 관찰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lymphoma로 진단된 고양이에서 prednisolone 투여 후 빈혈이 악화된 사례와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의 합병증으로 빈혈이 발생한 사례를 보고했습니다. 

_ CMhm은 Candidatus Mycoplasma haemominutum의 약자이고, CMt는 Candidatus Mycoplasma turicensis의 약자입니다.

 

치료 방법은 개에서 주혈원충성 질환 치료와 유사하게 항생제 처치와 면역 억제를 통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Feral cat의 빈혈 증상 발생 시 PCR 검사 및 예방적 doxycycline 투여 고려:
    • 논문에서는 feral cat에서 빈혈이 발생했을 때, PCR 검사를 통해 hemoplasma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 예방적으로 doxycycline을 투여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 면역 억제 요인 관리의 중요성:
    • 면역 억제는 hemoplasma 감염증의 증상 발현과 악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논문에서 lymphoma 치료를 위해 prednisolone을 투여받은 고양이의 빈혈 증상이 악화된 사례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면역 억제 요인을 최소화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기저 질환 관리의 중요성:
    • Hemoplasma 감염은 다른 질병과 함께 발생할 경우 치료가 더욱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논문에서 고양이 전염성 복막염과 hemoplasma 감염이 동시에 발생한 사례를 통해 이를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hemoplasma 감염증 치료 시 기저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도 병행되어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워낙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질환이지만 한국에서 존재하고, 포르투갈에서 유병율이 5% 정도로 나오는것을 고려했을때 우리나라에도 상당히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유없는 빈혈이 있던 환자가 많은 만큼 관심을 가져야 하지만 PCR 검사로만 진단이 되는것을 보았을때 검사 접근성이 떨어지는것을 고려해야 할것이다.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 at 2024. 6. 23. 18:28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