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증례는 5세 수컷 고양이에서 발생한 고환 기형종에 대한 CT 영상 소견을 최초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고환 기형종의 CT 소견은 경도의 이질적 조영증강, 내부 석회화, 다방성 낭성 부위 등이 특징적입니다. 이는 다른 고환 종양(세르톨리세포종, 정상피종, 간질세포종)과 구별되는 소견입니다.
  2. 세침흡인 세포검사만으로는 진단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영상검사 소견상 기형종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조직검사가 필요합니다.
  3. 성숙 후 발생한 고환 기형종은 조직학적 분화도와 관계없이 악성 경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본 증례에서도 조직학적으로는 성숙 기형종이었지만 매우 빠른 성장을 보였습니다.
  4. 복강 내 광범위하게 침윤된 기형종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시도하였으나, 종양의 성장을 억제하지 못하였고 고양이는 결국 사망하였습니다. 이는 진행된 고환 기형종에서 방사선 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임상 수의사를 위한 조언>

  • 편측 잠복고환이 있는 성숙한 수컷 고양이에서 고환 종괴가 발견되면 기형종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고환 종괴의 감별진단을 위해 초음파와 CT 검사가 도움될 수 있으며, 기형종에 합당한 소견이 관찰되면 조직검사를 통한 확진이 필요합니다.
  • 성숙 후 발생한 고환 기형종은 악성 경과를 보일 수 있으므로, 조기에 고환절제술을 포함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광범위하게 진행된 고환 기형종의 경우 방사선 치료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보호자 안내문> 반려묘의 편측 고환이 복강이나 서혜부에 존재하는 잠복고환 상태인 경우, 고환에 종양이 발생할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잠복고환이 있는 경우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수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잠복고환에 종괴가 만져진다면 기형종을 포함한 악성 종양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속한 검사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CT나 초음파 검사상 기형종에 합당한 소견이 보이는 경우에는 빠른 고환절제술이 필요하며, 현미경 검사를 통해 최종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수술 후에도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재발이나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Posted in : 논문겉핥기 at 2024. 5. 24. 18:30
Posted by : :::::
Currently comments want to say something now?